
갈등 조정(화해 조정)
갈등은 관계의 문제이다!
집단 압력은 갈등이 생겼을 때 더 두드러지게 된다.
갈등은 변화의 필요를 알린다.
학교 폭력 사안으로
서로의 갈등이 심화된 상황에서
갈등 조정 대화 모임을 통해
갈등의 원인을 알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.
상대방을 이해하기 시작하면
자신의 책임을 알게 되고 스스로 질 수 있게 됩니다.

갈등 조정 진행 과정
1
조정 참여 확인
-
조정 대화 모임의 좋은 점을 적극적으로 알려주어 자발적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-
상처 입은 개인이 갖는 감정 공감은 선택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-
스스로의 선택으로 진행할 때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2
개별 모임
-
갈등 당사자와 충분한 일대일 만남을 통해 각자 느끼는 갈등의 원인 파악과 해결 가능성에 집중합니다.
-
솔직한 감정 표현과 긍정적인 생각 정리를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합니다..
3
조정 대화모임
-
충분한 개별 모임을 통해 당사자들의 바람과 해결 의지를 확인한 후 함께 모여 자신의 솔직한 이야기를 나눕니다.
-
자신의 이야기를 함으로써 시원한 감정을 갖게 되고 더불어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게 됩니다.
친한(?) 친구였는데 . . .
학교폭력으로 서로 신고하여 가피해가 혼합되어 있는 평소 친하게 지내던 한 반 친구들의 사례이다.
서로 친하게 지내던 7명의 여학생들은 평소 대화 도중에 감정을 상하게 하는 표현들로 마음의 상처를 입고 있었다.
그 마음을 잘 표현하지 못하다가 두 학생이 부딪히게 되었다.
서로 농담이라면서 나눈 이야기에 상처 받고 속상해 하면서 점점 더 심한 말들이 오고 갔다.
이 싸움을 시작으로 가장 말을 심하게 하던 한 친구와 나머지 친구들과의 사이에서 오해와 갈등이 심해졌다.
친구들 사이에 친할수록 지켜야 할 예의가 있다는 것을 잘 알지 못하였고
대부분의 학생이 외동이다 보니 자신의 것을 나누고 양보하는 것에 많이 미숙하였으며
속상한 상황일 때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도 잘 몰랐던 것이다.
갈등 조정 전에 개별 만남을 통해 각자가 느낀 것, 생각한 것에 대한 이야기를 충분히 나눈 후 조정의 시간을 가졌다.
사전 개별 만남을 통해 각자의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는 시간이 되었고
이후 조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하고 갈등 조정을 통해
오해를 풀고 타인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.